청와대 지시 따르는 언론들 (1) 운영자 2012.06.15 6월13일이 ‘검찰 사망의 날’이었다면 6월15일은 ‘언론 사망의 날’로 기록될 것 같다. 청와대가 검찰의 불법사찰 수사결과 발표 직전 일부 언론사에 연락해 “노무현 정부의 민간인 사찰 사례도 나올 테니 균형 있게 다뤄달라”고 부탁했다는 이른바 ‘물타기 시도’에 대해 대다수 언론이 ‘그런 일 없다’는 듯 침묵으로 일관했기 때문이다.
불법사찰 은폐·축소…13일은 ‘검찰 사망의 날’ (2) 뉴스브리핑팀/서영석 2012.06.14 6월 13일은 길이길이 ‘검찰 사망의 날’로 기록될 것 같다. 검찰이 3개월간의 재수사 끝에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차관을 ‘몸통’이라고 밝히며 민간인 불법사찰 수사결과를 발표한 날이다. 14일자 8개 조간신문들은 진보·중도·보수를 막론하고 일제히 사설을 통해 검찰의 수사를 비판했다.
“<동아> <중앙>은 ‘종북 신문’?” (1) 운영자 2012.06.13 오늘자(13일) 조간신문들 가운데 가장 재미있는 기사(!)는 한겨레 8면에 실린 기사다. 최근 ‘종북 몰이’에 앞장서고 있는 수구언론들도 북한에 선물 공세를 폈다는 것이다. 수구언론이 ‘종북 몰이’를 하면서 적용했던 잣대를 본인들에게 적용시키면 어떻게 될까.
톱기사감을 한줄 단신으로 숨긴 이유는? (2) 운영자 2012.06.12 12일 조간신문 1면에는 숱한 유명인사들의 이름이 각 신문마다 제각각 다른 이유로 올랐다. 경향신문은 현병철 인권위원장, 동아일보는 박원순 서울시장, 한겨레는 지관· 보선스님이 머릿기사의 주인공으로 등장했다. 조선일보, 경향신문 등에는 박근혜· 정몽준· 김문수 등도 1면에 거론됐다. 잊혀진 이름인 줄 알았던 ‘반란수괴’전두환· 노태우의 이름도 몇몇 신문에 다시 대서특필됐다.
전국민 우롱한 검찰 '내곡동 봐주기 수사' (2) 운영자 2012.06.11 오늘자 신문은 한국인 8명이 탑승한 페루의 헬기 사고와 관련, 탑승자 전원이 숨진 것으로 보인다는 안타까운 소식과 스페인의 구제금융 신청, 민주통합당 이해찬 대표체제 출범 등을 주요 기사로 다뤘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나선 국세청 (1) 운영자 2012.06.08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라는 속담이 있다. 우리가 딱 그런 상황이다. ‘먹튀’ 로 인한 국부유출 논란으로 떠들썩했던 론스타. 론스타는 이미 챙길 만큼 챙겨 떠났지만, 국세청은 이제야 외양간을 고치겠다고 나섰다.
종북논란 ‘꽃놀이패’ 역풍 부를 것 (1) 운영자 2012.06.07 ‘대공황’ 가능성이 운위되고 있고, 이명박 대통령의 측근비리가 온 나라를 뒤덮어도 보수신문들은 이념전쟁에만 몰두하고 있다. 나이 서른도 안 된 탈북자의 발언이 조선일보의 1면 머릿기사에 오르고, “경제불황보다 더 위험한 건 이념적 불황”(조선일보 3면)이란 듣지도 보지도 못한 한 탈북자의 시대착오적 발언까지 미화해 가면서 이념전쟁에 동원시키고 있는 보수신문의 현실이 딱하기만 하다.
김석동 ‘대공황 발언’도 못 말린 임수경 ‘탈북자 발언’ (3) 운영자 2012.06.05 5일자 대부분의 조간신문들은 유럽발 경제 쇼크와 임수경발 ‘종북 쇼크’ 기사를 1면과 종합면에 주요기사로 크게 다뤘다. 전날 유럽 재정위기 공포감이 커지면서 코스피 1800선이 무너졌고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대공황 버금가는 충격”이라는 위험한 발언을 내놓았다고 신문들은 전했다.
갈 데까지 가 보자는 조현오 (3) 운영자 2012.06.04 조현오 전 경찰청장, 갈 데까지 갔다. 우선 경향신문 10면 <검찰 ‘20억 노무현 차명계좌 없다’ 잠정결론 / 조현오 5일 소환조사> 기사부터 보자.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백방준 부장검사)가 조현오 전 청장을 5일 재소환해 조사한다. 이날 조사에서 조 전 청장의 해명 여하에 따라 기소 여부를 결정한다는 소식이다.
빚내서 소 잡아먹는 이명박 정권 (2) 운영자 2012.06.01 새달 첫날부터 우울한 소식이 조간신문을 덮었다. 나라 빛이 774조나 된다는 기사다. 372조나 늘었다. 정부부처들이 재산은 부풀리고 부채는 줄이는 엉터리 회계처리도 잇따랐다. 이를테면 토지 등 일반 유형 자산을 재평가 하면서 공시지가를 잘못 적용했다거나, 청와대 경호처는 구매금액을 편법 분할해 수의계약 처리하는 등 나라 살림관리가 허술했다. 감사원이 적발한 오류만도 5,214건이나 달했다.